스시에 관하여 2-1. 나도 횟감용 생선을 일본어로 말할 수 있다. 암기비법

카테고리 없음|2021. 7. 2. 18:21

횟감용 어류를 일본어로 어떻게 부르는지는 몰라도 좋지만 알면 더 좋죠.

스시집에 가거나 일본에 갔을 때, 써 먹을 기회가 없지 않을테니까요.

 

자주 먹으면서 자연스럽게 아는게 제일 좋겠지만, 세상일이란게 그럴 수 있나요.

이 참에 일본어로 횟감 어류를 어떻게 부르는지 암기 비법을 소개합니다.

출처는 이전 블로깅에 이어 마찬가지입니다.

2006년 동경생활 별책부록 "동경의 스시통이 되는 책"의 권말에 있는 스시 기초지식편입니다.

 

한국어는 한자어를 한글로 표기해도 소통하는 데에 문제가 없는데,

일본어는 한자가 없으면 언어로서 존재하기가 극히 어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물고기마다 한자어가 있습니다.

스시에 조예가 깊지 않고서는 이 한자어들을 한국인들이 구별해 내기란 극히 어려울텐데요.

그렇다고 자존심 상하거나 할 건 아닙니다. 그들에게는 그들만의 언어 사정이 있기 때문이죠.

 

기초지식 2. "자주 눈에 띠는 이 한자들 중 어느정도 읽을 수 있습니까"

'읽을 수 있습니까"라는 질문에서처럼, 자주 보다 보니 익숙하여 스시집에서 읽을 수는 있다 하더라도,

일본인들도 이 한자를 쓸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총 50종의 물고기와 어패류 한자입니다. 하나같이 좌측에 고기 어(漁)가 있어 물고기인줄은 알겠는데,

여기서 상당수는 일본식 조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본 스시를 좋아하는 이라면, 한자어는 몰라도 일본어는 '우나기' '아지' '마구로' 등등 잘 알겠죠.

이 참에 재미삼아 교양삼아  일본어로 어떻게 읽는지 함께 외어 볼까 합니다.

이 컵이 갖고 싶네요. 글자하나하가 다 서체가 달라 보이고요.

마치 상형문자같아서 재미도 있고, 한자어 공부겸 일본인들이 물고기를 보는 관점을 읽어 낼수도 있겠고요.

 

이제 하나하나 스시용 어류들을 어떻게 읽는지 볼까요

 

1-1 '아지'는 일본의 국민생선이라고도 하는 전갱이( 鯵 あじ)입니다.

"아지"에 삼(參)이 들어가 있는 이유는 무얼까 궁금합니다.

 

일본어로 "아지"(あじ)는 맛(味)이고, 그래서 조미료 미원은 아지노모토(あじのもと 맛의 바탕)이라는 뜻이 됩니다.

일본인들은 전갱이를 너무 좋아해서 어떻게 요리하던 맛있어서 '아지'라고도 한답니다.

 

1-2 '아유' 점(占)이 들어가 있네요. 왜 이렇게 붙였을까요?

하동에는 은어가 올라오는 철, 은어를 보고서 경상도 사투리로 '아유' 맛있어'이렇게 한답니다.  (이렇게 외우시라고^^)

 

2-1 '아와비' 저는 전복(鮑 あわび)에는 포(包)가 들어가 있습니다.

저는 전복회가 아직 탐탁찮은데요 사실 초보자들은 먹을 때 '아와 비려'라는 말을 하는 이 많죠,

 

2-2 '안코' 여기에는 편안할 안(安)이 들어가 있습니다.

저는 아구찜이나 아구지리 놓고 술마시는 게 속이 편하고 좋더라고요.. 그래서 아구는 '안코'

 

2-3 '이시모찌', 고기에 돌 석(石)이 들어가 있습니다. 조기입니다.

조기 대가리를 먹어본 사람은 알겠는데, 조기대가리에는 돌(石)이 있죠.

조기새끼 젓갈을 황석(石)어 젓갈이라고 부르는 것도 이런 까닭입니다.

 

가방을 들고다니는 사람을 가방모찌라 하듯이, 이시모찌(石持)는 머리에 돌을 넣고 다닌다는 뜻

사실 일본인들은 우리랑 달라 조기를 좋아하지 않아 어묵(가마보코)용으로 많이 쓴다죠.

3-1 물고기어에 가을 추(秋)가 들어간 고기가 일본에는 제법 있는데요. 안타깝게도 미꾸라지가 아니네요.

 

미꾸라지에도 가을 추가 있는데요. 진흙탕에 사는 걸 특징으로 잡아 도죠오(泥鰍, どじょう)라고 발음합니다.

가을에는 도죠오..추어탕이 좋아요. 도죠오. 도죠오...도죠 추어탕 한뚝배기 하실래요. 도죠.

 

여기서는 이나다로 읽는데 방어새끼를 말합니다. 우리는 방어를 겨울에 먹는데 그들은 가을에 먹나 봅니다.

 

자연산 방어는 '부리'라고 합니다. 방어 눈 보셨나요? 눈이 부리부리합니다.

그리고 방어는 물고기 중에 특이하게 이가 있습니다. 방어새끼는 그래서 이가 난다고 '이나다'

 

3-2 이루까. 돌고래를 '먹을' 가능성은 거의 없으니 이름만 알고 갑시다.

돌고래는 고래라고 하리까? 돌고래는 이루까?

 

이루카 ( 보통은 돌고래를 바다돼지라는 뜻으로 해돈海豚이라 쓰고 이루카로 읽는 듯 합니다.)

 

3-3 정어리 물고기에 약할 약(弱)이 있습니다. 잡자마자 죽어버리니 "이와씨"라고 욕이 나오죠.

일설에 의하면 떼거지로 다니는데 그 모양이 바위(いわ 岩)같다고 합니다.

그래서 일본인들은 바다(sea 시)에 있는 바위라고 이와씨라고 한다네요.

 

참고로 일본의 전문 클라이밍 잡지였던 암과 설은 일본어로 이와(岩) と 유키(雪)이라고 읽습니다. 

 

 

4-1 이와나는 한자 끝 말(末)이 있는데다 우리나라에 없는 어종,  곤줄메기라고 하니 패스

 

4-2 우나기는 뭐 다들 알다시피 장어이죠. 

물고기 어 옆에 있는 曼는 만이라고 읽는 한자이고, 찾아보니 길다 멀다라는 뜻이 있네요.

 

4-3 에이는 가오리류. 홍어 (エイ 에이) 를 말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아싸 가오리 하는데 일본인들은 에이! 가오리라고 하는가 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