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시 2-6. 나도 일본어로 회를 말할 수 있다.... 암기비법 총정리

카테고리 없음|2021. 7. 8. 17:11

생선과 해산물을 어떻게 일본어로 말할 수 있을까...그 암기비법을 단권화 해보았습니다.

 

나도 이제 일본어로 스시나 회를 말할 수 있다!

 

 

생선회나 스시를 먹을 때, 일본어 이름을 아는 것도 있고 모르는 것도 있을 텐데요.

아는 것은 그냥 넘어가고, 모르시면 '펼쳐보기'를 클릭하시면 암기비법이 나옵니다.

노파심에 말씀드리는데, 이 암기법은 암기법에 불과하고, 사실과는 별 관련 없는 게 많습니다.

 

나도 이제는 일본어로 생선을 말할 수 있다.!

 

 

 

가오리  ?

 

더보기

우리는 아싸 가오리 하는데 일본인들은 에이! 가오리라고 합니다.

에이는 가오리류. 홍어 (エイ 에이) 등을 말합니다.

 

에이! 가오리 홍어 에이! 가오리 홍어

 

가자미 ?

 

더보기

 카레이( 鰈 かれい)는 가자미를 말합니다. 고기가 잎사귀 엽(葉)처럼 넓게 생겼죠.

외워볼까요? 가자미는 바닥에 납짝 깔으레이. 카레이.

 

가자미 바닥에 납짝 깔으레이. 카레이 가자미 카레이


고등어 ?

 

더보기

사바사바가 고등어라는 건 모두가 아는 사실.~

요즘에는 안쓰는 말이겠지만 예전에는 '사바사바한다'는 건 안좋은 뜻이죠.

뒷거래를 통해 은밀하게 목적을 달성하는 걸 말합니다.

예전에 일본에서는 고등어를 뇌물로 써서라는 믿거나말거나 이야기인데요.

인터넷에 사바사바를 검색하면 재미있는 이야기를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어에는 푸를 청(靑)이 있어 鯖  さば 이라고 씁니다.

말그대로 일본어 사바사바는 좋은 뜻입니다. 성격이 소탈하고 시원시원한 것을 표현하죠.

아무튼 사바는 고등어. 

 

사바사바 고등어

 

고래 ?

 

더보기

 쿠지라. 고래는 길지라. 쿠지라 고래는 쿠지라(くじら 鯨) 고래는 쿠지라. 쿠지라.

 

허먼 멜빌의 명작 '백경(白鯨)'은 흰색고래이니,  훈독을 하면 시로(白)쿠지라가 되겠죠. 

 

광어 ?

 

더보기

평평히 피히라 평평히 히라.

 

탈렌트 하희라는 얼굴이 평평합니다. '희라'는 평평하죠.

일본어로 평평할 평(平)은 '히라'입니다. 눈(目)은 메.

평평한 물고기의 대명사는 도다리 광어.

하희라가 좋아하는 회는 도다리 광어이라메. 도다리 광어 이라메. 도다리 광어 히라메

 

히라메

글자도 고기 어(魚)변에  글자에 평평할 평(平)이 있습니다.

히라메 넙치 히라메 광어. 히라메 도다리.

한자어로는 눈(目)이 한쪽에 있다는 의미로  平目·鮃·比目魚라고도 하는가 봅니다.

물론 일본사람들은 이걸 평목, 평, 비목어라고 읽지 않고 똑같이 히라메라고 읽습니다.

 

도다리야 광어야? 맛있는 건 비싼건 도라리라메.넙치이라메. 도다리 히라메. 도다리 히라메

 

얼핏 듣기에 우리나라는 광어양식이 성행해서 광어가 싸고, 돔이 비싼데,

일본은 반대로 양식에 성공한 돔이 싼 대신에 광어가 비싸다고 하더군요.

 

꽃게 ?

 

더보기

바닷가에서 제일 재미있는 친구가 꽃게죠. 옆으로 종종걸음 치면서 어디가니 

꽃게야 어디 가니 꽃게 가니 꽃게 가니

 

굴 ?

 

더보기

굴은 카퀴질로 캡니다.

 

국민동요 '섬집아기'에서 '엄마는 섬그늘에 굴따러 가고'

저는 성인이 될때까지 '굴'을 딴다고 하길래 감이나 대추같은 과실인줄 알았습니다.

 

알고 보았더니 굴은 캐는 것입니다.

그래서 굴캐기 굴캐기 굴카키 굴카키

 

김 미역 파래 다시마

 

더보기

 

김이 노리이니 파란색 파래는 아오노리(靑海苔(あおのり) 입니다.

사과 아오리는 익어도 파래서 아오리라고 하죠.

파래, 아오노리

 

다시마는 곤부(昆布(こんぶ)라는 건 많이들 아실테죠.

미역은 까만 색이니 와카메 와카메 미역은 와카메. 전형적인 경상도 말이죠.

미역 와카메. 와카메.

 

김 노리,.파래 아오노리 다시마 곤부 미역 와카메 와카메.

 

농어 ?

 

더보기

농어는 스즈키입니다.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여름 별미였고, 도쿠가와 쇼군 집안에서도 즐겼다고 합니다.

 

스즈키 타고 놀러 가자. 스즈키 타고 농어가자 

스즈키 타고 농어 스즈키( 鱸) 농어 스즈키 농어

 

대구 ?

 

더보기

7-7 대구사람들은 반말을 잘합니다.

차를 태워 줄때도 타세요가 아니라 타라.

대구 타라 대구 타라( 鱈·大口魚)

고기 어 변에 눈처럼 하얀 설(雪)이 있네요.

멋있는 이름입니다. 또는 대구어(大口魚)라고 쓰고 역시 타라라고 읽죠.

 

대구 타라 대구 타라

 

도루묵 ?

 

더보기

하타하타

 

이런 이야기 안할려 했는데, 임진왜란 때 선조는 마음이 하닥하닥했습니다.

금방이라도 죽을까봐 하타하타하면서 의주로 도망갔죠.

성격이 하닥하닥한 선조가 맛있게 먹은 생선이 도루묵이라고 하죠. 

하닥하닥 도루묵 하타하타 도루묵 도루묵은 하타하타

 

하타하타(た)는 놀랍게도 전기 뢰(雷)나 신 신(神)이 붙어 鱩·鰰라고 하네요.

도루묵이 성격이 급하여 번개처럼 하타하타해서일까요^^. 유래가 궁금합니다.

 

독중개 ?

 

더보기

카지까 (かじか 鰍) 가을 추가 들어가 있는데, 미꾸라지는 아니고 독중개라는 해괴한 이름이 물고기이네요.

검색해보니 민물에 사는 횟감 꺽지하고 많이 닮았습니다.

 

먹을 일은 없을 것 같은데, 꺽지까? 카지카?

 

돌고래 ?

 

더보기

이루까. 돌고래를 '먹을' 가능성은 거의 없으니 이름만 알고 갑시다.

돌고래는 고래라고 이루까? 돌고래는 이루까? 돌고래 이루까

 

이루카 (돌고래를 바다돼지라는 뜻으로 해돈海豚이라 쓰고 이루카로 읽습니다.)

 

돔 도미 ?

 

더보기

7-5 타이는 왕국, 영어로 킹돔(kingdom)입니다.  타이는 생선의 왕 돔

타이는 생선의 왕 돔을 뜻합니다. 타이 킹돔, 타이 돔 타이( 鯛)

 

참돔 또는 옥돔이라 하는 건 그 색깔이 빨간색(아카징키)의 아카. 따라서 아카다이 [赤だい·赤鯛] ,

또는 살맛이 달콤하다고 아마(甘)다이라고 합니다. 아마이는 음식이 달콤할 때 아마이라고 하죠.

감성돔은 색깔이 검어서 구로다이(구로는 검다黑는 뜻이죠)

돌돔은 돌이 영어로 이시(石)이니, 이시다이

 

참고로 조기는 머리에 돌(이시)를 갖고(모찌)다닌다고 해서 이시모찌.

 

망둥어 ?

 

더보기

숭어가 뛰니 망둥어도 뛴다라는 말 있습니다.

망둥어 너? 잘 하재? 망둥어 너 잘 하재?

 

망둥어는 한자로 하재( 沙魚·鯊)입니다.

망둥어 하재? 망둥어 너 잘하재? 망둥어 하재?

 

멍게 ?

 

더보기

요즘 캠핑할 때 거는 유리로 된 램프를 예젠에는 호야등이라고 했습니다.

캠핑가면 라떼는 말이야, 호야등이라는 말씀 하신ㄴ 분 없지 않을 겁니다.

 

동글동글하고 빨간 멍게가 딱 호야등처럼 생겼죠.

그래서 일본인들은 멍게를 호야라고 부릅니다(진짜임)

 

멍게는 호야. 멍게 호야 호야 멍게

 

명태 ?

 

더보기

명태는 우리나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하는 일본인들 많습니다.

그 대표적인 증거가 그들도 명태를 멘타이라고 부른다는 것.

 

명태, 멘타이.

 

그렇다면 명태의 명란 젓은 명태의 일본말 멘타이에 아들 자(子 코로 읽음)를 붙여 멘타이코 멘타이코.

 

메기 ?

 

더보기

민물에서 최고로 못생긴 메기가 말했습니다.

이렇게 생긴 나마저 먹을려고? 메기 나마즈? 나마즈?(なまず)

 

메기는 생각이 많아서일까요? 그래서 고기 어(魚) 변에 생각 염(念) 메기는 나마즈.

 

문어 ?

 

더보기

타코는 다들 알다시피 길거리 음식 타코야키의 타코죠. 문어를 말합니다.

낙지도 타코(たこ)라고 한다네요.

 

한자로는 蛸 또는 章魚라고 합니다. 벌래 충(蟲)에 초상화 할 때의 닮을 초(肖)를 써네요.

장어의 장(章)은 글 장입니다. 문어가 제일 흉내를 잘 내고 똑똑한 동물이라고 하죠.

그래서 문어를 먹지 말자는 운동을 벌이는 서양인들도 있죠.

 

미꾸라지

 

더보기

일본어에는 가을에는 추어탕을 도죠. 일본사람들은 추어탕을 좋아해서 가을에 권합니다.

도죠... 도죠.. 드세요 드세요.

추어탕 좋은 건 일본도 마찬가지 도죠. 도죠...

 

고기 어 변에 추(酋 추장 추) 뿐 아니라 가을 추(秋)를 붙여도 도죠. 도죠.. 가을에는 도죠...

 

도죠 하면 답은 아리가또.

 

민물장어 ?

 

더보기

일본의 유명한 영화 우나기 다들 보셨죠?

저는 다행히 그 영화를 보아서 우나기가 민물장어인지 외울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우나기는 뭐 다들 알다시피 민물장어이죠. 

일본사람들은 우나기로 덮밥을 해서 먹는 걸 좋아하죠. 

우나기동은 그래서 장어덮밥.

물고기 어 옆에 있는 曼는 만이라고 읽는 한자이고, 찾아보니 길다 멀다라는 뜻이 있네요.

일본의 유명한 영화 우나기 다들 보셨죠?

저는 다행히 그 영화를 보아서 우나기가 민물장어인지 외울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우나기는 뭐 다들 알다시피 민물장어이죠. 

일본사람들은 우나기로 덮밥을 해서 먹는 걸 좋아하죠. 

우나기동은 그래서 장어덮밥.

 

물고기 어 옆에 있는 曼는 만이라고 읽는 한자이고, 찾아보니 길다 멀다라는 뜻이 있네요.

 

방어 ?

 

더보기

자연산 방어는 '부리'라고 합니다. 방어 눈 보셨나요? 눈이 부리부리합니다.

방어 부리부리 방어 부리

그리고 방어는 물고기 중에 특이하게 이가 있습니다^^. 방어새끼는 그래서 이가 난다고 '이나다'

 

그런데 일본인들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양식 방어를 하타찌( [魬]라고 한다네요.

 

방어는 눈이 부리부리 하다지? 방어는 눈이 부리부리 하타찌 방어는 부리부리 하타찌

 

범고래

 

더보기

물고기 어에 호랑이 호(虎)가 있는 물고기는 맞습니다 범고래입니다. 

 

범고래는 우리에게 사치입니다. 범고래 사치 범고래 샤찌(しゃち) 

범고래는 먹을 일 있을까마는 그냥 재미삼아 외웁시다.

범고래 사찌 범고래 사찌

 

병어 ?

 

더보기

가츠오는 가다랑어를 말하는데, 가츠오가 병사처럼 많아. 

마나가츠오? 그러면 병어가 되는 거 아니겠어요?

 

마나가츠오 가츠오가 병사처럼 많아 마나가츠오 병어 마나가츠오 병어

 

마나가츠오 [真魚鰹]

병어를 우리나라 한자로는 진짜로 병(兵)어라고 합니다. 병사처럼 생겨서라나

 

보리멸 ?

 

더보기

키스(キス 鱚)는 어떤 물고기이길래 키스를 하고 싶어질까요? 한자어에도 기쁠 희(喜)가 있습니다.

궁금하여 찾아보니 멸치처럼 생긴 길쭉한 '보리멸'을 말한다고 합니다.

보리멸을 다른 말로 대가리가 쥐처럼 생겼다고 해서 서두어(鼠頭魚)라고도 합니다. 

 

살다살다 멸치도 아니고 보리멸같은, 쥐새끼 같은 그런 놈하고 키스를 해?

 

복어 ?

 

더보기

후구는 복어입니다.

복(福)은 일본어식 발음으로 '후쿠'입니다. 후구는 복. 복어입니다.

이건 뭐 아시는 분 많을테니 그냥 패스하죠

 

붕어 ?

 

더보기

나훈아는 은둔형입니다. 공연안할 때 뭐하는지 다들 모르시죠.

시골 인적 드문 낚시장에 가서 붕어낚시 합니다. 붕어낚시 매니아입니다.

 

그래서 매니저는 항상 이렇게 이야기하죠.

훈아 붕어낚시 가자. 후나 붕어낚시 가자. 후나 붕어.

 

후나.( [鮒)

 

빙어 ?

 

더보기

 

다른 물고기들은 다 작게 썼는데, 

고기 어 변에 같을 약(若)이 있는 이 물고기는 무엇이길래 이렇게 큰 글씨로 써놓았을까요?

'와카사기'라고 읽는가 보는데, 이제까지 궁금하더라고요.

 

지금 찾아보니....... 와 가 사기이네요. 

 

이건 마구로도 아니고 아지도 아니고 부리도 아니고 빙어라고 합니다.

소양강에 있는 빙어 말이죠.

빙신 이놈아가 사기치네. 빙신아가 사기치네.  빙어 와가사기.

빙어 와카사기 빙어 와카사기

 

일본어로는 わかさぎ[若鷺·公魚·鰙] 라고 하고,

다른말로는 육질이 달아서(甘 아마)일까요. 아마사기(あまさぎ),

또는 벚꽃과 관련있을까요.  사꾸라어(漁)라는 뜻으로 사쿠라 우오(さくらうお)라고도 합니다.

 

삼치 ?

 

더보기

7-1. 아버지는 겨울마다 이렇게 말씀하셨지. 삼치 사와라.

온가족이 함께 먹게 꽁치 고등어 말고 값이싸고 큼지막한 삼치 사와라.

 

삼치는 겨울이 제철인데, 어(魚)에 봄 춘(春)이 있어 鰆라고 씁니다. 봄을 알리는 생선이라는 뜻이려나.

삼치 사와라 삼치 사와라(さわら) 

 

상어 ?

 

더보기

상어를 만나면 괜히 후카시잡지 말고 눈을 싸메고 도망가야 합니다.

 

 

상어 만나면 후카시 잡지 말고 눈을 싸메고 도망가야 합니다.

상어를 만나면 후카시 잡지 말고 눈을 싸메고 도망가야 합니다.

상어는 후카시도 있고 싸메도 있네요.

 

상어 후카시 후카시. 상어 싸메 싸메 상어 후카시 싸메.

상어 싸메 상어 사메. 사메(サメ)......

 

새우 ?

 

더보기

에비.  새우는 등이 굽었으니 새우 에비는 할에비.

 

경상도 사투리로 새우를 새비라고 합니다.

일본어에는 경상도 언어의 영향이 많다고 하죠.^^ 새우 에비. 할에비.

에비.  새우는 등이 굽었으니 새우 에비는 할에비.

 

경상도 사투리로 새우를 새비라고 합니다.

일본어에는 경상도 언어의 영향이 많다고 하죠.^^ 새우 에비. 할에비.

 

성게 ?

 

더보기

성게.

성게는 알밤처럼 생겼죠. 실제로 그래서 성게를 아기들 손에 대면 따끔거릴까봐 웁니다.

성게 대니 우니? 성게 대니 우니 성게알 우니 성게 우니 우니 성게 우니

 

해삼내장 고놈와타하고 성게알 우니 는 일본의 3대 진미 중의 하나라고 하죠.

 

소라 ?

 

더보기

일본사람들은 소라 껍데기를 사자 귀처럼 생겼다고 보았습니다.

실제 사자귀를 보면 작고 말려 있는게 딱 소라처럼 생겼습니다.

 

소리에 놀라지 않은 사자. 소라에 놀라지 않는 사자에 비교한거죠.

소라 사자에(さざえ)

소라 사자에 소라 사자에

 

송어 ?

 

더보기

일본에서는 크리스마스에 먹는 물고기가 바로 송어입니다.

크리스마스 송어 마스 송어. 마스 송어

 

마스 는 송어입니다.

 

숭어 ?

 

더보기

보라

 

나폴레옹이 이집트 침략하면서 말했죠. '저 피라미드를 보라. 4000년 역사가 우리를 보고 있다"

나폴레옹은 세인트 헬레나에서 유폐되어 살면서 이렇게 이야기했다고 하죠. 

'저 숭어를 보라. 온 바다를 돌아다니네'

 

나폴레옹은 이렇게 말했다. 저 숭어를 보라. 숭어를 보라.

 

일본의 3대 진미 중 첫째는 숭어알을 절여 만든 카라스미(카라스미(カラスミ)라고 합니다.

나폴레옹은 카리스마가 있습니다. 숭어알도 카리스마가 있죠.

숭어알 카리스마, 숭어알 카라스미, 숭어알 카라스미. 카라스미.

 

3대 진미 중 나머지 두개는 해삼내장 성게알인데 이 둘은 2-5에서 소개합니다.

 

아구(아귀)

 

더보기

2-2 '안코' 여기에는 편안할 안(安)이 들어가 있습니다.

저는 아구찜이나 아구지리 놓고 술마시는 게 속이 편하고 좋더라고요.. 그래서 아구는 '안코'

아구 안코 아구 안코 못생긴 아구가 몸에 좋아 안코 돈다. 아구 안코

 

양태 ?

 

더보기

코찌(コチ 鯒)는 양태라고 일본인들은 좋아하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아는 사람만 먹는 고기라고 합니다.

 

양태는 한국사람 중에 눈치 코치 있는 사람만 먹습니다. 눈치가 아니로 코치. 양태 코찌. 양태 코찌.

 

검색하다가 '일본에서는 옛날 일본의 문무 백관이 손에 쥐던, 작위를 나타내는 얇은 판인 '고쯔(コツ)'를 닮았다하여 '고찌(コチ)'로 불린다."라는 어원이라고 하네요.

 

연어 ?

 

더보기

연어를 사케라 하는 건 많은 분들이 알죠.^^

술 사는 악센트가 뒤에, 연어 케는 악센트가 앞에 있습니다.

술 사케와 구분하기 위해 샤케라고 발음하기도.

사케동은 사케를 얹은 덮밥. 규동은 소고기 덮밥.

 

일본인들은 소 우(牛)를 규로 읽습니다. 그래서 우유는 규뉴

 

나무위키에 의하면, 일본산은 사케( 鮭 규 さけ), 수입산은 사몬(Salmon)이라 한다네요.

 

오징어 ?

 

더보기

경상도에서는 제사상에 올리는 말린 오징어를 수루미라고 불렀죠.

일본어로 스루메(め)입니다. 오징어 스루메 스루메, 맥주 안주에 스루메가 최고

 

오징어에 해당하는 한자에는 물고기 어(魚)에 바꿀 역(易)이 있습니다. 피부색을 바꾸어서 그럴까요?

 

물론 생오징어류는 이까라고 부릅니다. 

구멍가게에 가서, 오징어 있읍니까?   

경상도 사투리로 줄여서 오징어 이까?

 

은어 ?

 

더보기

1-2 '아유' 점(占)이 들어가 있네요. 왜 이렇게 붙였을까요?

하동에는 은어가 올라오는 철, 은어를 보고서 '은어는 '아유' 맛있어'이렇게 합0니다.

 

은어 부면 아유., 은어 아유 

 

잉어 ?

 

더보기

일본어로 사랑은 코이(こい)입니다. 애인은 그래서 코이비토(恋人 こいびと)라고 합니다.

 

잉어도 사랑이죠. 아기를 놓고 나면, 몸보신하라고 잡아서 찜을 해서 먹였습니다.

잉어는 사랑이다. 잉어는 코이. 코이

 

고기어 변에 마을 리(里)가 있는데, 마을마다 눈에 띠는 흔한 고기라는 뜻일까요?

참고로 일본인들은 잉어를 잘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장어 ? (붕장어 갯장어)

 

더보기

 하모.

하모는 갯장어입니다.남해안 해변가의 회집은 왠만하면 '하모(ハモ)'라고 적혀 있습니다.

하모 모르면 못먹습니다.

일본인들은 붕장어(아나고)보다 갯장어를 더 선호한다고 하죠. 그래서 주로 수출했습니다.

갯장어가 아나고보다 백번 비싸고 맛있재. 하모하모.

 

하모의 어원은 물다 뜯다를 뜻하는 하무( 食む)가 유래라고 하네요

 

조기 ?

 

더보기

 '이시모찌', 고기에 돌 석(石)이 들어가 있습니다. 조기입니다.

조기 대가리를 먹어본 사람은 알겠는데, 조기대가리에는 돌(石)이 있죠.

조기새끼 젓갈을 황석(石)어 젓갈이라고 부르는 것도 이런 까닭입니다.

 

가방을 들고다니는 사람을 가방모찌라 하듯이, 이시모찌(石持)는 머리에 돌을 넣고 다닌다는 뜻

사실 일본인들은 우리랑 달라 조기를 좋아하지 않아 어묵(가마보코)용으로 많이 쓴다죠.


전어 머리에 돌있네. 전어 이시모찌 전어 이시모찌

 

전갱이 ?

 

더보기

일본의 국민생선이 무언지 알지? 무언지 알지? 

전갱이라는 거 알지 전갱어 아지?

 

'아지'는 일본의 국민생선이라고도 하는 전갱이( 鯵 あじ)입니다.

 

일본어로 "아지"(あじ)는 맛(味)이고, 그래서 조미료 미원은 아지노모토(あじのもと 맛의 바탕)이라는 뜻이 됩니다.

일본인들은 전갱이를 너무 좋아해서 어떻게 요리하던 맛있어서 '아지'라고도 한답니다.

 

전어 ?

 

더보기

전어는 굉장히 고소하죠. 코소하다. 코하다. 코하다. 새끼전어 코하다

 

코노시로 처음엔 비리지만, 맛에 길들여지면 냄새가 좋아 코 노 싫어 코노시로 코노시로 코노시로 큰전어 

 

코노시로(コノシロ)는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맛이 오르기 시작한 전어를 말합니다.

 

코노시로는 큰놈을 말하는데, 유래를 코노시로(子の代 아이대신의 뜻)라고 푸는 경우가 많은가 봅니다.

스시에 많이 올라오는 전어 작은 것은 코하다(こはだ 小肌 코는 아이, 하다는 피부)라고 합니다.

피부가 어린 아이처럼부드럽다 해서 붙인 이름이라고도 하네요. 

 

정어리 ?

 

더보기

정어는 떼거지로 다니는데, 위에서 보면 그 모양이 바위(いわ 岩)같다고 합니다.

그래서 일본인들은 바다(sea 시)에 있는 바위라고 이와씨라고 한다네요.

 

참고로 일본의 전문 클라이밍 잡지였던 암과 설은 일본어로 이와(岩) と 유키(雪)이라고 읽습니다. 

 

바위는 이와, 정어리는 바위속 바위처럼 보이니 이와씨 이와씨 정어리는 이와씨

 

조개 ?

 

더보기

개의 고어는 카이 입니다. 고등학교때 고전문학 선생님이 그래서 화나면 카이새ㅁ 라고 말씀을 하셨죠.

바다에 사는 개, 조개는 그래서 카이. 조개는 카이 카이

 

조개도 여러 종류가 있잖아요 그것들은 모두 개 종류이니까 끝에 카이로 끝납니다.

 

피조개는 빨가니까 아까징끼의 아카를 써서 아카가이(카이가 끝에 붙으면 가이로 발음이 바뀝니다)

새조개의 새는 고도리 할때의 도리, 따라서 도리가이

가리비는 좀 특이한 이름, 범선의 돛(帆)을 펼친(立) 것 같아 호타테가이(帆立て貝(ほたてがい))

 

모시조개는 국물맛이 깔끔하죠.

우리말로도 '앗싸리'하다고 하는데 이게 일본말입니다. 모시조개는 앗사리(あさり)

 

일본의 유명 산 입산(立山)을 타테야마라고 부릅니다. 립(立)은 타테,

그래서 가리비는 호타테가이

 

참치 ?

 

더보기

마구로.^^

마구로를 일본어로는  한자어로는 있을 유(有)를 붙여서 鮪라고 하네요.

마구로는 언제나 생각납니다. 

 

 

청어 ?

 

더보기

청어를 일본어는 니싱(ニシン)이라고 합니다. 노래가 나올 정도로 맛있는 고기 청어. 싱청싱청

싱(sing) 청, 싱청

 

청어도 청어지만 청어알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단어죠.

 

카지노 고고gogo 카지노에서 노란 칩이 노란 청어알처럼 우수수 떨어져야죠.

카지노고 카즈노고 청어알. 카즈노코 청어알 카즈노코 청어알 청어알 카즈노코.

 

청어의 한자 명칭을 보면 물고기 어 옆에 희(希, 바랄 희)입니다. 무엇을 그리도 바랄까요?

 

보통은 카즈노코(청어알)을 일본어로 数の子라고 씁니다. (카즈는 수라는 뜻) 많은 자식들이라는 뜻이죠.

자손이 번성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일본인들은 설날 아침에 먹는 오세치 요리에 반드시 들어갑니다.

우리나라 제사상에 오르는 대추와 비슷하군요. 대추는 꽃이 피는 자리에는 꼭 열매가 맺는다고들 하죠.

 

피리 ?

 

더보기

하야이 일본말로 재빠르다는 하야이 입니다.

민물고기 중에 피리가 하야이라고 붙일 만하죠. 민물고기 중에 피리처럼 생긴 걸 통칭해서 '하야'라고 한답니다.

 

하야(  鮠) , 하야 그놈 참 재빠르네, 하야 하야 피리 피리

 

홍어 ?

 

더보기

우리는 아싸 가오리 하는데 일본인들은 에이! 가오리라고 합니다.

 

에이는 가오리류. 홍어 (エイ 에이) , 

에이! 가오리 홍어 에이! 가오리 홍어

 

 전복 ?

 

더보기

2-1 저는 전복회가 아직 탐탁찮은데요

저처럼 초보자들은 먹을 때 '아와 비려'라는 말을 하는 이 많죠,

 

전복 아와비려 전복 아와비 전복 아와비

 

해삼 ?

 

더보기

해삼의 주산지 거제도에서는 예전에는 해삼은 항상 남하고 함께 나누어 먹었다고 합니다. 

해삼은 항상 남하고, 해삼은 남하고 나마고.

해삼은 나마코(なまこ). 해삼은 나마코 해삼은 나마코

 

흔히 일본의 3대 진미라고 하는 해삼 내장젓갈 맛은 어떨지 싶은데요.

거제도에서는 잔치상에 해삼젓갈이 오르면 '고놈와따' 고놈와따'하면서 좋아했다죠.

 

해삼내장 젓갈은 고놈와따 고놈와따 고노와따(このわた). 해삼젓갈 왔다. 고노와따 고노와따.

 

해파리 ?

 

더보기

해파리.

해파리는 위험하죠.

해파리가 있으니까  그러게 바다깊이 왜 갔니. 그라게 해파리 구라게 구라게 해파리, 구라게(くらげ) 해파리 

 

가다랑어  ?

 

더보기

가다랑어는 카츠오라는 건 다들 아시겠죠.

육수 낼때, 카츠오 부시, 카츠오 부시의 그 카츠오죠.

 

카츠오부시의 부시는 훈제를 뜻하는 이부스(いぶす)를 뜻합니다.

물론 '멸치로 다시국물을 낸다' 할때 다시는 일본어입니다. 다시(出汁)

 

가다랑어라는 뜻의 한자어에는 고기 어(魚)변에 굳셀 견(堅)이 있습니다. 고기육질이 단단해서라고 합니다.

가다랑어는 카츠오라는 건 다들 아시겠죠.

육수 낼때, 카츠오 부시, 카츠오 부시의 그 카츠오죠.

 

카츠오부시의 부시는 훈제를 뜻하는 이부스(いぶす)를 뜻합니다.

물론 '멸치로 다시국물을 낸다' 할때 다시는 일본어입니다. 다시(出汁)

 

가다랑어라는 뜻의 한자어에는 고기 어(魚)변에 굳셀 견(堅)이 있습니다. 고기육질이 단단해서라고 합니다.

 

댓글()